11. 적외선체열진단장비에서 환자 몇명이나 저장이 됩니까?
실제 한 컷 이미지당 64 KB이므로 환자 10만명이상 저장됩니다.
12. 검사 시 소요되는 소모품이 있나요?
과거에는 결과지를 프린트해서 사용했으나 현재는 주로 이미지를 진료실로 바로 전송하거나 PACS로 영상이 전송되므로 소모품이 없습니다.
13. 단지 보여주는 장비로 잘못 이해를 하고 있는데 진단적 가치(임상적 유용성)는 무엇인가?
진단적 가치가 매우 유용합니다. 첫째 요천추부 질환 시 CT, MRI, Myelograph와 85% EMG와 80% 정도의 임상적 연관성(Correlation)을 가지고 있고, 기존 검사 등으로 확인 할 수 없는 통증 부위, 염증 질환, 자율신경계 이상, 근육 이상을 진단하는데 유용합니다.
특히 혈류 장애가 있는 레이노 증후군이나, 관절염 등 염증 질환이나, 유방암 등의 혈류 이상 증식 등 비정상 혈관 생성이나 조직의 이상 부위를 스크린 검사로 조기 유방암을 발견 할 수 있습니다.
체열진단기는 보여주는데도 큰 의의가 있습니다. 요즘 환자들은 본인이 아픈 곳을 알아 주는 것만으로도 치료 효과가 배가 되고 있으며, 알 수 없는 통증으로 병원을 전전긍긍하는 환자들에게 체열진단기는 중요한 정보를 제시해 줍니다.
구조적 이상을 보는 X-ray 나 CT 등으로 통증을 알 수가 없습니다. 환자들은 지속적으로 아프고 원인을 알 수 없는 경우 조직 손상이나 염증 등 기능상의 이상이 있는 환자들이 답답해 할 때 제시 해줄 수 있는 유일한 대안이자 도구입니다.
경통, 근육통, 연부 조직 손상 등 생리학적 이상을 동반한 통증을 객관적으로 표현해 주고 환자의 호소 사항을 표현해 줍니다. 미세한 혈류의 변화 등을 통해 환자 상태와 자율신경계를 대변해 주므로 환자를 보는 제 3의 눈으로 기능 진단에 도움이 큽니다.
14. 체열 진단기로 만 진단이 가능한 질환이 있나요?
1) 자율신경계 이상 질환(복합부위 통증 증후군 CRPS, 반사성 교감신경 이양증 RSD)
2) 신경 압박성 질환 과 관련 각종 통증 양상 (척추 질환, 말초 신경 질환) - 디스크 환자, 신경총 손상, CTS, whiplash inj
3) 근 골격계 질환 – 섬유 근통 증후군, 근육의 활성화 상태. 근육의 위축 상태
4) 염증성 질환 – 봉와직염, 류마티즘, 혈액 검사상으로 나타나기 이전에 연부 조직 이상 관찰 가능
5) 혈관 이상 증식 - 유방암 조기 관찰 ( breast screening test ) 기타 말초 혈관 폐색 유무
15. 주로 어떤 과에서 사용하고 있습니까?
신경외과, 통증의학과, 류마티스내과, 재활의학과, 정형외과, 검진센터에서 주로 사용합니다.
1) 신경외과
척추 센터에서 주로 추간판 탈출증 환자의 신경 통증을 객관적으로 보여줌으로서 진단과 진료에 도움이 됩니다.(추간반의 탈출이 심할수록 증상 기간이 짧을수록 온도 차이가 많이 남)
통증의 정도와 부위를 정확히 이해 시켜 주고 치료 방향을 결정 하는 데 도움이 되므로 수술 전,후 나 DRG Block 시술 전,후 , 치료 전,후의 성공 여부를 객관적으로 제시해 주고 치료에 적극 동참 할 수 있도록 유도해 줍니다.
2) 마취통증의학과
(1) 주관적으로 호소하는 환자들의 다양한 요인들의 통증에 대해 객관적으로 제시하고 치료 전, 후의 효과를 보여 줄 수 있습니다.
(2) 자율신경계 이상 환자 ( CRPS ,RSD, Herpes Zoster, 삼차 신경통 )
3) 재활, 정형외과
(1) 기존 CT, MRI, X-RAY 등 장비에서 정상으로 판명 되었지만 꾸준히 PAIN을 호소 하는 환자군의 관리 ( MPS, CTS, RSD, knee joint, degeneratoin disease )
(2) 특히 TA 환자나 산재 환자의 근 골격계의 통증 관련 Malingering 구분
(3) EMG 와 체열 진단기의 생리적 기능적 진단 시 진단의 상관성이 높으므로 병행 실시
4) 류마티스 내과
(1) 각종 류마티스 질환의 조기 진단으로 활용 (기존 검사로 나타나기 전 초기 염증을 체열로 알 수 있음)
(2) MPS, Fibromyalgia, 레이노드 증후군 환자에게 주로 적용
(3) Screening 하면서 치료 과정에서 약물 효과 확인 및 치료 과정 observation으로 활용
5) 건강 검진 센터
전신 검사를 통해 신경병증성 통증, 염증성 질환, 유방암 조기 스크린을 할 수 있습니다.
16. 장비를 구매하고 심평원에 장비를 신고하는 방법은?
적외선 체열진단기는 심사평가원에서 관리중인 192종의 신고 품목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적외선체열진단기를 도입 시 그 현황을 심사평가원에 신고해야 합니다.
신고방법은 심사평가원 홈페이지내에 있는 보건의료자원통합신고포털 사이트로 접속해서 공동인증서를 통해서 회원 로그인 후 현황 신고, 변경에서 신고합니다.
장비대분류 : 검사행위관련장비
대분류목적 : 기능검사장비
장비 번호 : A24600
첨부서류로는 구입증명자료 (세금계산서 또는 계약서 등) 사본 1부,
식약처 의료기기 제조(수입) 품목허가(신고)증 사본 1부 입니다.